이글은 Slipp - Spring-Boot, JPA로 질문/답변 게시판 구현 과정을 참조하여 작성한 내용입니다.
1-1. 로컬 개발 환경 세팅
- spring boot ptoject 생성
- web/mustach/dev-tools 설정
- mustach : 템플릿 엔진 - 참고 사이트 : Mustache 메뉴얼, Mustache 템플릿 문법 , Mustache Slipp 사이트
- dev-tools : 코드 변경사항을 자동으로 적용하여 서버를 재부팅시켜준다.
- 나머지 라이브러리는 기능을 구현하면서 추가할 예정
- web/mustach/dev-tools 설정
- live reload chrome extention 설치
- 변경된 코드가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브라우저에 출력해준다.
1-2. Bootstrap 활용한 html 페이지 작성
bootstrap css, jquery, javascript 라이브러리 추가
html에 적용
index.html(메인페이지) => navigation bar 추가
form.html(회원가입페이지) => navigation bar 추가
list.html(회원목록페이지) => navigation bar 추가
1-3. github에 소스 추가
sourcetree에 저장소 추가
github에 repository 생성
sourcetree에서 commit => push
local => github.com => AWS(개발 서버/실 서버)
1-4. 원격 서버(개발 서버 또는 실서버)에 소스코드 배포하기
ssh로 서버(AWS) 접속
일반사용자(ubuntu)를 sudo 명령으로 루트 권한을 부여
한글 인코딩 설정
프로파일 생성후 인코딩 설정
바로 적용시키기
1-5. 원격서버(개발 서버 또는 실서버)에 소스코드 배포하기
wget 자바(jdk8) 설치
자바 심볼링크 생성
자바 환경변수 설정
git설치
git clone 후 빌드
저장소를 복제한 곳으로 이동하여 권한 변경 후 빌드
서버시작
target 디렉토리로 이동
마무리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코드를 작성하는데는 시간이 오래 걸리자 않았다. 물론 코드가 뭐 없긴하지만…
하지만 cygwin을 통해 ubuntu 리눅스 서버를 세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진짜로 상당히 많은 삽질을 수없이 반복했다…ㅠ 덕분에 AWS계정을 3개나 만들게되는……
서버만 10번 넘게 만들고 지우고를 반복한것 같은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러다가 default vpc까지도 지우는 바람에 한 계정은 완전 못쓰게되어버렸다 ㅠ
default vpc를 복구해달라고 문의를 넣어봤지만 아직도 감감무소식이다.
전부터 배우고 싶었지만 엄두가 나질 않아서 계속 미루던 리눅스는 이번기회에 배우게 되서 좋았다.
command가 상당히 생소해서 익숙해지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것 같다.
하지만 진짜로 정말 재미있었다.
언제나 새로운 것을 접하고 배우는 것만큼 즐거운 것은 없는것 같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